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소송

상가임대차보호법 차임증액청구 제한

by 김채영변호사 2015. 2. 24.

상가임대차보호법 차임증액청구 제한




실제로 국내에서는 상가건물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한 법률로서 상가임대차보호법이 마련되어 시행되오고 있습니다. 이는 주택임대차보호법과 유사하게 상가건물을 인도받고 사업자등록을 신청하게 되면 그 다음 날로부터 제3자에게 임차권을 주장할수 있는 대항력과, 확정일자를 받은 경우 보증금에 대한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게됩니다.


다만, 상가임대차보호법은 원칙적으로 일정 액수 보증금 이하의 상가임대차계약에만 적용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요. 서울특별시의 경우 4억원 이하, 광역시의 경우 2억 4천만원 이하, 그 밖의 지역 1억 8천만원 이하 기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월차임이 포함되어 있는 보증금의 경우 월차임에 100을 곱한 금액을 보증금과 더한 액수를 기준으로 상가임대차보호법 적용 여부를 판단하게 되어 있는 사항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가임대차보호법은 차임증액청구 제한 등에 관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즉, 차임이나 보증금이 임차건물에 관한 조세나 공과금, 그 밖의 부담의 증감이나 경제사정 변동 등으로 상당하지 않게 된 경우 당사자는 장래의 차임 또는 보증금에 대해 증감을 청구할 수 있는데, 증액의 경우 9%를 초과할 수 없도록 정하고 있는 것 입니다. 이와 더불어 차임증액청구는 종전 증액을 한 때부터 1년 이내에는 다시 하지 못하는 차임증액청구 제한사항도 확인해 볼 수 있는데요.





여기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사항은 앞서 언급한 상가임대차보호법 기준 보증금을 초과하는 임대차에 대해서도 계약갱신요구권이 인정되고 차임증액에 관한 조항도 적용된다는 점에서 비롯될 수 있다고 봅니다. 일반적으로 상가임대차계약은 1년 단위로서 계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계약기간이 종료되기 전 임차인이 계약갱신권을 행사하면 5년까지는 계약을 갱신할 수 있는데요.


갱신되는 임대차의 경우 9% 범위 내에서 보증금이나 차임을 증액할 수 있다는 제한을 받기도 합니다. 더불어 이렇게 갱신권을 행사하지 않아 임대차계약이 종료된 후 재계약을 하는 경우에도 차임증액 제한에 관한 상가임대차보호법이 적용되는지에 대한 여부를 대법원의 판례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데요.





대법원은 차임증액청구 제한에 관한 상가임대차보호법에 입각하여 임대차계약의 존속 중 당사자 일방이 약정한 차임 등의 증감 청구를 이행한 경우에 한해 적용되며, 임대차계약이 종료한 후 재계약을 하거나 임대차계약 종료 전이라 할지라도 당사자의 합의로 차임 등을 증액하는 경우 적용되지 않는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임차인 입장에서는 갱신이 보장되는 5년 이내 갱신 방식을 통해 그 상가 계약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계약기간을 종료한 후 새로이 계약을 맺을 경우 차임증액청구 제한의 상가임대차보호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상가임대차보호법에 따른 차임증액청구 제한에 관한 사항을 살펴보았는데요. 이러한 차임증액청구는 당사자 사이 차임증액을 금지하는 특약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행할 수 없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임대인은 차임불증액의 특약이 있다 하더라도 그 약정 후 특약을 유지시키는 것이 신의칙에 반한다고 인정될 정도의 사정변경이 있는 경우 차임증액청구를 할 수 있는 사항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가임대차보호법 차임증액청구 제한에 관한 내용에 궁금한 점이 있다거나 이에 관련하여 법적인 문제가 발생한 경우, 그 분쟁에 실질적인 해결책 마련에 법률적 도움을 드릴 수 있는 김채영변호사와 같은 법적인 조력가를 선임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댓글